
[행11:1-18]
1 유대에 있는 사도들과 형제들이 이방인들도 하나님의 말씀을 받았다 함을 들었더니
2 베드로가 예루살렘에 올라갔을 때에 할례자들이 비난하여
3 이르되 네가 무할례자의 집에 들어가 함께 먹었다 하니
4 베드로가 그들에게 이 일을 차례로 설명하여
5 이르되 내가 욥바 시에서 기도할 때에 황홀한 중에 환상을 보니 큰 보자기 같은 그릇이 네 귀에 매어 하늘로부터 내리어 내 앞에까지 드리워지거늘
6 이것을 주목하여 보니 땅에 네 발 가진 것과 들짐승과 기는 것과 공중에 나는 것들이 보이더라
7 또 들으니 소리 있어 내게 이르되 베드로야 일어나 잡아 먹으라 하거늘
8 내가 이르되 주님 그럴 수 없나이다 속되거나 깨끗하지 아니한 것은 결코 내 입에 들어간 일이 없나이다 하니
9 또 하늘로부터 두 번째 소리 있어 내게 이르되 하나님이 깨끗하게 하신 것을 네가 속되다고 하지 말라 하더라
10 이런 일이 세 번 있은 후에 모든 것이 다시 하늘로 끌려 올라가더라
11 마침 세 사람이 내가 유숙한 집 앞에 서 있으니 가이사랴에서 내게로 보낸 사람이라
12 성령이 내게 명하사 아무 의심 말고 함께 가라 하시매 이 여섯 형제도 나와 함께 가서 그 사람의 집에 들어가니
13 그가 우리에게 말하기를 천사가 내 집에 서서 말하되 네가 사람을 욥바에 보내어 베드로라 하는 시몬을 청하라
14 그가 너와 네 온 집이 구원 받을 말씀을 네게 이르리라 함을 보았다 하거늘
15 내가 말을 시작할 때에 성령이 그들에게 임하시기를 처음 우리에게 하신 것과 같이 하는지라
16 내가 주의 말씀에 요한은 물로 세례를 베풀었으나 너희는 성령으로 세례를 받으리라 하신 것이 생각났노라
17 그런즉 하나님이 우리가 주 예수 그리스도를 믿을 때에 주신 것과 같은 선물을 그들에게도 주셨으니 내가 누구이기에 하나님을 능히 막겠느냐 하더라
18 그들이 이 말을 듣고 잠잠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 이르되 그러면 하나님께서 이방인에게도 생명 얻는 회개를 주셨도다 하니라
<말씀요약>
베드로가 무할례자의 집에 들어가 먹은 일로 인해 할례자들이 베드로를 비난한다. 이에 베드로가 환상을 보고 성령의 인도로 가이사랴에 간 경위와 성령이 이방인들에게 임하신 일을 말한다. 그리고 자신이 누구이기에 하나님을 능히 막겠느냐고 하자, 그들이 이방인의 구원을 받아들인다.
<설교>
복음의 본질과 비본질
_ 프레임(frame)은 사전적으로 ‘틀’, ‘테두리’라는 뜻인데, 심리학에서는 ‘세상을 보는 마음의 창’을 의미합니다. 그리스도인들은 ‘복음’이라는 본질을 프레임 안에 담아 세상을 바라보아야 합니다. 그런데 프레임 안에 비본질이 채워지면 차별과 배척으로 세상과 사람을 바라보게 됩니다. 본문은 복음의 본질을 가리는 비본질을 초대교회가 걷어 낸 특별한 사건을 소개합니다.
_ 가이사랴에서 일어난 이방인 회심 사건에서 베드로는 핵심 역할을 했습니다. 그가 예루살렘으로 돌아오자, 할례자들은 베드로를 비난했습니다(1~3절). ‘할례자들’은 예루살렘의 유대 그리스도인들을 가리키는데, 그들은 베드로가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했다는 것을 문제 삼기보다 ‘무할례자’의 집에 들어가 함께 식사 교제를 했다는 것을 비난했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을 믿는 그리스도인이었지만 여전히 전통과 의식이라는 비본질을 중요하게 여겼던 것입니다. 우리가 고수하는 신학적 지식과 전통이 복음을 전하는데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비본질을 고수하느라 영혼을 잃어버리는 우를 범하지 말아야 합니다.
_ 베드로는 자신이 본 환상을 시작으로 사건의 사실관계를 상세히 설명합니다(4~14절). 하나님은 정결에 관한 고정관념을 깨뜨리시기 위해 세 번의 환상을 보이셨고, 고넬료가 보낸 사람들과 동행하도록 성령께서 말씀해 주셨으며, 앞으로 일어날 일에 증인이 되어 줄 여섯 형제까지 예비해주셨다고 말합니다. 곧 율법과 관습보다 성령의 명령과 영혼이 더 중요함을 말한 것입니다.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복음은 차별과 소외의 복음이 아닌 공평과 포용의 복음입니다. 복음과 영혼을 위해 우리 생각과 관습을 버리고, 오직 성령이 명하신 대로 순종해야 합니다.
_ 베드로는 이방인들에게 임한 성령이 오순절 마가 다락방에 임한 성령과 같았다고 전합니다(15절). 특별히 자신이 메시지를 다 전하기도 전에 이미 성령이 그들에게 임했음을 말하며, 이 사건이 자신의 언변이나 능력이 아닌 오로지 성령의 역사임을 밝힙니다. 오늘 우리에게 임한 성령 또한 마가의 다락방에 임한 성령과 같습니다. 그러니 그때 임했던 성령의 능력과 역사가 오늘날에도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진정 차별과 편견 없이, 오직 성령의 능력을 의지함으로 복음을 전하는 증인의 삶을 사시길 바랍니다.
_ 베드로는 이 사건이, 이전에 예수님이 “요한은 물로 침례(세례)를 베풀었지만 너희는 성령으로 침례(세례)를 받으리라”(행 1:5) 하신 말씀의 성취이며, 하나님이 절대 주권으로 모든 과정을 이끄셨기에 누구도 거역할 수 없음을 밝힙니다(16~17절). 오늘날 우리에게 이루어진 구원은 하나님이 주권적으로 인도하신 결과입니다. 우리에게 이루어진 구원 여정을 돌아보며 하나님의 은혜를 찬양합시다.
_ 베드로의 자초지종을 들은 유대 그리스도인들은 잠잠해졌습니다. 나아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이방인에게도 생명 얻는 회개가 주어졌음을 인정했습니다(18절). 하나님의 뜻과 동떨어진 것이라면, 기존에 우리가 아무리 절대적으로 여겼던 가치더라도 그것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우리의 확신과 고집이 복음 전파에 방해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_ 신앙 공동체의 연합은 결코 훼손되어서는 안 됩니다. 17세기 마르코 안토니오 도미니스 대주교는 “본질에는 일치를, 비본질에는 자유를, 모든 것에 사랑을”이라고 외쳤습니다. 개인과 공동체가 세상을 보는 프레임에 오직 복음의 본질만을 채울 수 있기를 간절히 소원합니다.
[출처]
생명의 삶 플러스
'말씀 기도 묵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도행전 12:1-12, 성도의 합심 기도와 놀라운 구원 (0) | 2023.07.18 |
---|---|
사도행전 11:19-30, 그리스도를 닮은 사람, 그리스도인다운 섬김 (0) | 2023.07.17 |
사도행전 10:34-48, 의를 행하는 이에게 하나님이 주시는 선물 (0) | 2023.07.15 |
사도행전 10:17-33, 관습이 아닌 주님 뜻을 따르십시오 (0) | 2023.07.14 |
사도행전 10:1-16, 하나님이 깨끗하게 하신 사람을 받으십시오 (0) | 2023.07.13 |
댓글